ISO 10001, ISO 10002, 10003, 10004의 상호관계
페이지 정보
![profile_image](https://igcert.cafe24.com/img/no_profile.gif)
본문
ISO 10001, ISO 10002, 10003, 10004의 상호관계
ISO 10001, 10002, 10003, 10004는 각각 고객만족의 실행규범, 불평처리, 분쟁해결, 고객만족의 모니터링과 측정을 다루는 국제 표준입니다. 이 네 가지 표준은 독립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고 함께 연계하여 활용될 수 있는데, 이를 통해 조직은 고객만족을 강화할 수 있습니다.
ISO 10001은 조직의 실행규범에 대한 가이드를 제공하여 높은 수준의 고객 만족을 유지하기 위한 방법을 제시합니다.
ISO 10002는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불평처리에 대한 내부적인 가이드를 다루며, 이를 통해 조직은 문제 발생 가능성을 줄이고 고객의 기대에 부합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습니다.
ISO 10003은 내부적으로 해결할 수 없는 분쟁에 대한 해결 방법을 다룹니다. 이를 통해 고객과 조직 간의 이해관계를 개선하고 분쟁을 원활하게 해결할 수 있습니다.
마지막으로, ISO 10004는 고객만족을 모니터링하고 측정하기 위한 효과적인 프로세스를 수립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 이는 조직이 외부의 고객에게 맞춰진 서비스를 제공하고 끊임없이 향상시키기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.
이 네 가지 표준은 함께 사용될 경우 조직이 고객만족을 모니터링하고 개선하기 위한 통합된 체제를 구축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
![cc91387c5793292834c8b03f32d7891e_1713234300_8496.png cc91387c5793292834c8b03f32d7891e_1713234300_8496.png](https://igcert.org/data/editor/2404/cc91387c5793292834c8b03f32d7891e_1713234300_8496.png)
A. ISO 10001 품질경영 ─ 고객만족 ─ 조직의 실행규범에 대한 가이드라인
ISO 10001은 고객만족 실행규범을 계획, 설계, 개발, 시행, 유지 및 개선하기 위한 지침을 제공합니다. 이 실행규범은 정보 처리, 광고, 그리고 특별한 제품 및 서비스 속성 및 성능과 관련된 약속과 관련된 규정으로 이루어져 있습니다.
ISO 10001은 조직이 자사의 고객 만족 규정이 고객의 요구와 기대를 충족하는지를 평가하고, 이 규정이 명확하며 오해를 불러일으키지 않는지를 판단하는 데 도움을 주는 지침을 제공합니다.
B. ISO 10001 요구사항
1. 적용범위
2. 인용표준
3. 용어와 정의
4. 가이드라인 원칙
5. 규범 기본체제
6. 기획, 설계 및 개발
7. 이행
8. 유지 및 개선
C. ISO 10001 기대효과
1. 적절한 고객만족 실행규범을 활용하여 불평을 예방합니다.
2. 내부에서 불만족 의사가 접수되었을 때의 불평 처리를 실시합니다.
3. 내부에서 만족스럽게 처리할 수 없는 경우, 외부 분쟁해결을 진행합니다.
4. 공정한 거래 관행과 조직에 대한 고객신뢰를 증대 시킵니다.
5. 제품 및 서비스와 관련된 기대치를 개선하여 오해와 불평의 발생 가능성을 감소시킵니다.
6. 조직의 대응을 통제하기 위한 새로운 규제 필요성이 잠재적으로 감소합니다.
D. ISO 10003 품질경영 – 고객만족 – 조직의 외부 분쟁 해결 지침
이 표준은 조직에 의해 해결되지 않은 불만에 대한 효과적이고, 효율적인 분쟁해결 프로세스를 기획, 설계, 개발, 운영, 유지 및 개선을 하기 위한 조직에 지침을 제공합니다.
또한 제품 및 서비스 관련 불만을 해결하고 분쟁을 조정하는 프로세스를 원활하게 구축하고자 하는 조직에게 도움을 줍니다. 이를 통해 고객 만족도를 높이고 조직의 명성을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.
E. ISO 10003 요구사항
1. 적용범위
2. 인용표준
3. 용어와 정의
4. 지침 원칙
5. 분쟁해결의 틀
6. 기획, 설계 및 개발
7. 운영
8. 유지 및 개선
F. ISO 10003의 기대효과
1. 법정 판결에 비해 비용이 적게 들고, 절차가 간단하며 빠른 해결이 가능합니다.
2. 고객 만족도와 충성도를 향상시킵니다.
3. 조직과 조정자/제공자가 클레임을 공평하고 효율적으로 평가할 수 있는 기준을 마련합니다.
4. 분쟁해결의 접근성, 비용, 법적 결과에 대한 정보를 제공합니다.
5. 분쟁의 원인을 파악하고 경감하는 능력을 향상시킵니다.
6. 조직 내에서 불만과 분쟁을 처리하는 방법을 개선합니다.
7. 프로세스 및 제품 개선을 위한 추가 정보를 제공합니다.
8. 조직의 명성을 보호하고 손상을 방지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.
9. 국내외 경쟁력을 강화합니다.
10. 국제 시장에서 분쟁 처리의 공정성과 일관성에 대한 확신을 제공합니다.
![cc91387c5793292834c8b03f32d7891e_1713232383_6486.jpg cc91387c5793292834c8b03f32d7891e_1713232383_6486.jpg](https://igcert.org/data/editor/2404/cc91387c5793292834c8b03f32d7891e_1713232383_6486.jpg)
- 이전글AI 경영시스템 24.05.23
- 다음글ISO 10015:2019 24.04.11
댓글목록
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.